교재질문방
- 교재질문방
-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
- 자유게시판
-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
- 자료실
- 각 과목의 자료 모음
- 정오표
-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
기사/공사필기
저항 양단 전압 + -
- 작성자
- 우팽
- 작성일
- 2025-08-15 11:45:00
- No.
- 181916
- 교재명
-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
- 페이지
- 85
- 번호/내용
- 5
- 강사명
- 이재현
5번에서 전류의 흐름이 전류원에서 저항이 있는 방향으로 흐르잖아요. + > - 방향
그러나 7옴이 있는 그 저항에서는 저항이 반대로 흐르니깐 -7옴으로 적는건가요?
너무 당연하다는듯이 설명해주시는데 저한테는 아닙니다. 뭘 검색을 해야될지도 모르겠습니다.
+ 추가로 a > b 방향으로 -5A 가 흐른다면 결론적으로 b > a 방향으로 5A 가 흐른다는 말인가요?
- 첨부파일 : b.PNG (493.12KB)
일반적으로 전류는 저항의 극성 (+)에서 (-) 방향으로 흐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.
그러나 전류원에 의해 (-)에서 (+) 방향으로 전류가 흐고 있다면, 이는 일반적인 방향과는 반대되는 상황입니다.
이때, 전류원의 방향을 반대로 설정하여 아래쪽으로 전류가 흐른다고 하면, 다시 (+)에서 (-)로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
즉, 전류원을 반대로 표현하는 것은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-1[A]와 같이 부호가 반대인 값으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.
쉽게 말해, (-)에서 (+)으로 전류 1[A]가 흐른다는 것은, (+)에서 (-)으로 전류 -1[A]가 흐른다는 것과 같습니다.
추가로, a > b 방향으로 -5A 가 흐른다면 결론적으로 b > a 방향으로 5A 가 흐른다는 말이 맞습니다.
(-)는 "방향이 반대"라는 것을 표현합니다.